작년 이맘때쯤, 어쩌다 보니 슈퍼커브 예약을 넣었습니다.

군대 후임이 혼다는 예약 안걸어놓으면 못산다, 커브 중고차값 미쳤던데 차라리 신차산다. C125 그돈씨 좀만 보태면 베스파 살수있다. 앗싸리 좀만 더 보태면 쿼터급 가능한데 왜 C125를 사냐 이런식으로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저 또한 전동킥보드 (나인봇 Es4)를 타고 있었던지라, 출력에 대한 아쉬움도 있기도 했고 비싼 전동킥보드에 비싼 돈 들일빠에는 차라리 오토바이나 사고말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었죠. 

 

21년 1분기 애니메이션, 유루캠 2기에서 시마린이 타고 나오는 비노, 2분기 애니메이션인 슈퍼커브 이렇게 두 애니메이션이 바이크를 사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거 같습니다(...) 

비노는 신차는 구하는거는 불가능하고 구하더라도 년식이 된 중고차에다가 50cc라 동네 근교 돌아다니는데도 쥐어짜야한다는  생각도 들고, 커브는 110cc라 어느정도 성능도 받쳐주면서 신차 구할수 있다는게 아마 큰 이유었지 않을까 싶네요...그러다보니 슈퍼커브 1기 끝난다음에 전화해서 바로 예약해버렸습니다(...)

 

계약금 10만원을 걸어놓고 군대 전역만을 기다리면서 하루하루를 기다리던중, 드디어 전역과 함께 커브를 찾으러 갈수 있게 되었습니다. 처음에 예약하는곳들도 다 안받으려고 하시는데, 제 전역인 11월 이후에 필요하다라는 말과 함께 예약좀 해줄수 있으시냐 물어보니 다행이도 예약을 받아주셨습니다. 처음 커브를 받고 느낀 생각은 사람들이 파란색 별로라고 살거면 이번년도에는 흰색을 사라 이렇게 이야기했었는데, 생각보다 파란색도 이쁜데? 이런 느낌이였습니다. 

대리점에서 모바일로 보험 가입한뒤, 취등록세와 번호판 제작비 6만원정도 낸 뒤 번호판을 받을수 있었습니다.

요즘은 전산으로 조회가 다 되서 차대번호로 보험 가입 하고 바로 가도 되더라고요. 따로 보험관련해서 서류는 불필요했습니다. 

또한 대리점에서 필요한거 있으면 달라고 하시는데, 저는 휴대폰 거치대 하나만 필요하고 나머지는 제가 직접 한번 만저볼 생각이라서 휴대폰 거치대만 출고하면서 대리점에 달아달라고 했습니다. 

저는 만 21세라 가정용인데도 불구하고 보험료가 110만원 정도 나왔습니다. 신기한게 제가 군 운전병으로 구난차량운전병으로 근무했었는데, 이것도 운정경력이 들어가서 10만원 정도 할인해서 총 보험료는 100만원정도 나왔습니다.  

 

엠블럼은 출고하자마자 집에 와서 장착했고 소기어는 100km정도 주행한뒤에 변경했습니다.

엠블럼은 저렇게 안뜯고 하는 방법도 있기는 한데, 짜피 부품값은 얼마 안하니까 뜯고 나서 떨어지면 다시 엠블럼 사서 붙히던가 저 부품만 따로 주문하지라는 생각에 저렇게 작업했었는데, 지금까지 잘 붙어있습니다. 

소기어 15t 작업은 체인 살짝 느슨하게 해준다음 체인커버 벗기고 작업하면 됩니다. 유튜브에 다 잘 나와있더라고요. 공구만 라쳇세트 구매하시면 누구나 할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장착한 뒤 푼 만큼 다시 체인 유격 조정해주시면 되고요. 

비상등 작업은 솔직히 너무 쉽습니다. 펜치로 잡아 뜯으면 빠집니다. 15t 교체작업보다 쉽게 느껴젔습니다. 저도 확 잡아뜯어서 빼고 난 뒤, 헤드라이트 연 뒤 콘덴서 교체해주면 됩니다. 저도 이분 영상 보고 따라서 작업했는데, 정말 쉽습니다. 

 

 

이렇게 필요한 기본적인 튜닝을 마친 뒤, 사이드 스탠드가 솔직히 순정에서는 너무 불안하더라고요. 지금은 커브 전용으로 괜찮은 제품들이 나와있을지는 모르겠는데, 저는 알리에서 X-ADV용 사이드 스탠드 구매해서 장착한뒤 사용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기본 사이드 스탠드가 쓰레기라... 세울때는 메인스탠드를 이용해서 세우는데, 잠깐 편의점 갔다올때나 이럴때는 메인스탠드 피기는 번거로워서 클립 구매해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나사가 들어가는 제품들은 무조건 록타이트 발라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처음에는 커브 진동 얼마나 심하면 그렇겠어 했는데, 사이드클립 고정하는 나사들이 진동에 의해서 풀려서 도망가더라고요... 저도 몇개 풀려서 도망간거 보고 록타이트 발라서 고정해놓았습니다.

또 저기 보이는 14번 20번 볼트가 진동때문에 풀리고 도망가버려서 바이크몰에서 너트 주문해서 다시 장착하고 록타이트 발라놨습니다. 저 두개가 없어지면 4번 볼트로만 지지하는 상황이라 4번 볼트가 풀려버리면 좀 많이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클립을 단 뒤 수납공간에 대한 부족함 때문에 앞 캐리어를 달았습니다.

이것도 나사 두개만 조여주면 되는거라 난이도가 굉장히 낮습니다. 

앞바구니에 뭔가 무거운걸 넣으면 핸들이 무거워집니다... 무거운건 뒤에다가 냅두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앞 바구니를 장착하고나니, 사람은 좀더 편한것을 찾게 되더라고요.번

그래서 탑박스를 장착했습니다.

남들이 다 다는 알루미늄 탑박스는 개인적으로 좀 흔해서(?) 일본에서 직구한 혼다 러기지 박스입니다.

딱 네모반듯한게 맘에 들어서 구입했네요.

구입하실때는 어태치먼트킷이랑 같이 구매하셔야 합니다.

어태치먼트킷에 나와있는 메뉴얼대로 드릴링 없이 작업하려고 하였으나 순정짐대에서는 맞는게 없어서 우일짐대를 구매했는데, 우일짐대도 맞는 구멍이 없더라고요..

결국에는 탑박스 드릴링하고 달았습니다.

이거는 개인적으로 해주는데 있다면 맞기는게 낫다고 생각됩니다.

드릴링 하고 중앙 맟추는게 생각보다 어렵더라고요..

드릴링만 하고 나면 십자나사로 쉽게 고정 가능합니다. 땔때도 십자 드라이버만 있으면 뗄수 있고요.

우일 짐대는 순정과 높이가 달라서인지 나사에 높히받힘대 주는데, 적당히 조이시면 됩니다.

그거 없이 작업하면은 뒤에 나온 손잡이가 브레이크등이랑 높이가 맞지를 않습니다.

이거는 한번 직접 작업해보시면 무슨 이야기인지 아실겁니다(??)

 

마지막으로 번호판이 허전하다 싶어서 튜닝한 번호판 가드

이 가드는 정부 봉인 풀 필요 없이 옆에 있는 나사만 풀고 장착하면 됩니다.

정부 봉인 제거하고 다시 재 봉인해야하는 번호판 가드도 있던데, 그러면 봉인 재발급받아야 하니 번거로워저서 안뜯고 할수 있는 가드 없나 찾다가 발견해서 달아줬습니다.

서비스로 저기 흰 나사 대신 혼다 로고 달린 나사도 줬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혼다 로고는 저기 번호판 아래 하나만으로 충분하다가고 생각되서 기존에 있던 나사는 두고 가드만 달았습니다.

생각보다 이거 하나로 드레스업 효과가 있더라고요...

 

이렇게 제가 필요한것들은 직접 튜닝하면서 탔는데 비용 정리를 하자면

 

충전거치대: 50,000원

프론트 엠블럼 :13,000원

키타코 15T 소기어 : 16,000원

비상등 스위치: 9,500원

우일짐대: 65,000원

번호판가드 :15,000원

러기지 박스 8,152엔 + 어태치먼트 킷 899엔+ 배송비 6,966엔 

 

확실히 커브든 뭐든 직접 만지면서 하니 공임도 절약하고 좀더 정이 가는거 같습니다. 

솔직히 커브는 하다 어디 날려먹어도 부품값이 저렴해가지고... 

나는 그냥 한방에 다 되어있는게 필요해가 아니라면 궂이 튜닝 다 된 매물보다는 직접 하나씩 다는것도 더 좋은거같습니다..

 

 

 

Posted by Lee.Th
,

시대가 급변하고, 배터리 고속충전 기술은 왜이리 많아지는지 원...

아이폰은 USB-PD, 갤럭시는 Adaptive Fast Charge (S10 5G모델부터는 PD로 고속충전 한다고 하네요) 퀄컴의 무슨 퀵차지... 

이러다 보니 휴대폰 바꿀때마다 무슨 충전규격 맟춰서 보조배터리를 사야할지도 모르겠네요.

암튼 서론은 이쯤 하고, 휴대폰 주변기기 전문업체인(?) 샤오미에서 PD 45W를 지원하는 보조배터리가 나왔습니다.

큐비에서 20달러정도 주고 샀습니다. 딱히 급한게 아니였거든요. 국내에서 사면 그거보다 비싸기도 하거니와...

구성품은 간단합니다. 본체랑 중문 사용설명서, USB-A to C타입 케이블.

역시 C to C는 별매군요.

포트는 3개 입니다. 

제품 겉면은 무광의 블랙으로 되여있는데, 양 사이드는 저렇게 유광처리 되여있습니다.

A타입 2개(12V에 1.5암페어까지 나오는 퀵차지 지원), C타입 (USB-PD지원) 하나입니다.

보조배터리 충전할때는 C단자를 이용하는데, PD와 퀵차지 둘다 지원합니다.

5V에 2A로 충전하면 완충까지 8시간정도 걸리겠네요.

배터리 용량은 20000mah, 74Wh로써 15V로 출력시 52wh정도 출력이 가능했습니다.

그보다 더 낮은 전압으로 출력하면, 당연히 쓸수 있는 용량이 늘겠죠?

(클릭하시면 좀더 큰 이미지로 보실수 있습니다)

 

PD용도로 배터리를 구매한거라, PD출력은 잘 나옵니다.

아이패드, 아이폰 둘다 고속충전이 가능하고, 노트북에서도 45w 충전 되고요.

닌텐도 스위치도 충전하면서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USB-PD로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면서, 보조배터리 A단자에 꽃아서 퀵차지로 뿌려주는기능도 됩니다. 

다만 XPS 15인치같은 경우에는 충전이 불가능했습니다.(9570) 

이게 45w면 충전이 될줄 알았는데 뭐 자체적으로 막힌건지 안됩니다.

45w짜리 델 모니터를 연결해서 사용할때는 저속이지만 충전도 됬었는데요...

 

전통적으로 샤오미가 잘 만드는 부분, 이번에도 잘 만들었네요.

솔직히 이 가격에 팔면 남긴 남을까?라고 의심이 되긴 하는데...

가격도 싸고 그렇다고 성능이 나쁘지도 않고.. 모바일에 백도어도 가끔씩 들어가고...(?)

큐비에서 자체 코인을 사서 결제하는게 번거롭기는 한데, 2만 5천원도 안하는 돈으로 사서 쓸수 있는 시장파괴자 같은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Posted by Lee.Th
,

어째서인지 맨날 사는 노트북이 비즈니스 노트북같은데, 튼튼하고 오래 쓸수 있는 제품을 찾다보니 맨날 비즈니스 노트북을 사는거 같습니다.

레노버 공홈에서 사면 CTO도 되고 보증연장도 싸게 구매할수 있으니 공홈에서 구입했습니다.

노트북 구입할때 고객센터에 전화하면 할인쿠폰을 준다는 이야기는 몰랐는데, 이번에 레노버 홈페이지에 워런티 연장 항목이 이상하게 되있어서 전화하니 고처준다면서 할인쿠폰을 주더라고요. 추가로 3%정도 할인받아서 노트북은 133만원, 워런티 보증연장에서 9만원 정도 더 들었습니다. 사실 한국레노버가 AS가 안좋다고는 하는데, 3년 연장이 만원, ADP에서 8만원 정도가 더 들었네요.

사실 지금은 환율도 그렇고 새제품을 바로 사기에는 미국 레노버 공홈보다는 한국 레노버 공홈에서 구입하면 더 싸기도 하거니와, 귀차니즘도 한몪 하길래 그냥 한국 레노버에서 구입했습니다.

 

당연히 새 제품답게 봉인실로 봉인되여있습니다.

 

제품 옆면을 보면 한쪽에는 제품 시리얼 넘버와 한쪽에넌 저렇게 제품 사양이 쓰여저 있습니다.

제가 CTO로 추가한 항목은

LTE모듈

지문인식

백라이트 키보드

터치스크린

스마트카드리더

IR카메라

16GB 램

정도네요.

솔직히 깡통모델인 i3를 사기에는 2코어 4쓰레드는 너무 아닌거같아서 i5모델로 구매하고,

터치스크린을 구성하면 IR카메라를 끼워파는 옵션질때문에 끼워넣고...

그런데 이게 터치스크린을 하면 상판을 카본으로 바꿀수가 없습니다..

실물 받아보고는 강화 플라스틱도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괜히 이런거에 카본 상판 옵션을...

노트북이 LTE가 되면 정말 편하길래, LTE옵션도 넣었는데 확실히 편합니다.

그냥 들고다니면서 모바일 핫스팟도 안켜도 되고, KTX에서 쓸때도 느려터전 와이파이를 안써도 되고 말이죠.

 

구성품은 조촐합니다.

노트북 본체, AC어댑터, 안전과 보증안내 찌라시 이게 다네요.

이 제품에 랜 단자가 없길래 하나쯤은 주는줄 알았는데, 그것도 안주더라고요.

 

여기에도 봉인실이 잘 붙혀저 있습니다.

이제 뜯으면 중고가 되는거죠. CTO제품이라 저걸 뜯지 않아도 반품은 안됩니다.

직사각형에 검은색, 딱 봐도 그냥 전형적인 씽크패드입니다.

X280모델부터 슬림팁단자가 아닌 USB-C 충전으로 바뀌였네요.

좌측에는 USB-C, 썬더볼트3, 이더넷어댑터 단자, USB-A, 풀사이즈 HDMI, 이어폰잭이 있고,

우측에는 캔싱턴 락 단자, USB-A, 방열구, 스마트 카드 단자가 있습니다.

후면에는 핀이 있어야 뽑을수 있는 마이크로 SD, 유심 슬롯이 있고요.

핀이 있여야 뽑을수 있다면 핀 하나정도는 동봉해줘야하는데, 동봉이 안되여있습니다.

이더넷 단자가 없는건 아쉽지만, LTE로 버텨야죠.

심카드는 나노심카드를 사용합니다.

충전 겸용으로 사용하는 USB-C단자는 데이터 주고받기는 물론, 디스플레이 출력까지 지원합니다.

충전단자를 썬더볼트 겸용으로 만들었으면 좋겠지만, 약간 아쉽습니다.

대충 크기비교를 위해서 

좌측부터 레츠노트 SX2, 씽크패드 X390, 델 XPS 15입니다.

X390이 12인치 폼팩터에 우겨넣어서 만들었다고 하길래 기대했는데, 12인치보다 약간 큽니다.

국내에서 LTE가 내장된 노트북은 선택지가 그리 많이 없습니다.

아에 초고가형이거나, 초저가형이거나.

적절한 사양에 옵션으로 추가할수 있는건 레노버밖에 없고요..

그러다 보니 이렇게 또 씽크패드로 구매하게 된거 같습니다.

 

 

Posted by Lee.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