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팀장이 부산가서 찍은 영상 통편집했어!!!!


말도 많았고 탈도 많았지만(?) 어쩌다 보니 이렇게 마지막 미션을 받게 되였네요...

서울-경기 팀원들이랑 함께 또 1년을 보냈습니다.

올해동안 서해선도 가보고, 오송기지, 철도 시험선도 갔다왔는데, 매년 이렇게 좋아지니까, 내년에는 또 어떤 좋은 행사가 기다리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Posted by Lee.Th
,

출시 당시부터 깡통제품이 150만원, 512기가 모델로 구매한다면 약 200만원에 가까운 돈을 지불해야 하는 아이폰 Xs Max입니다.

솔직히 저는 팀쿡의 가격정책이 맘에 들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번 분기 기기 판매 댓수는 줄었다고 하지만, 이익은 또 증가했다고 하더라고요.

이런 비싼 기기 사주는 충성고객이 많으니까 그들한테서 마진을 뽑아먹겠다고 하는거겠죠..


(음뭬에에에)



아무튼 제품 리뷰로 돌아와서 제품 박스입니다.

제가 구매한 모델은 실버라 그런지, 배경화면에 파란색 달이 그려저 있습니다.

골드 컬러를 구매하시면 광고에 나오는 금색 달 모습이겠지요?

제품 겉 패키징은 항상 아이폰답게 깔끔합니다.



이번 아이폰에도 역시 5w짜리의 충전기가 들어있습니다.

근데 저는 아에 뜯지를 않았습니다.

왜냐고요? 가뜩이나 용량큰 Xs Max를 저 속터지는 5w짜리 충전기로 충전하기에는 너무 느립니다.

그래서 저는 전에 쓰던 아이패드 프로 고속충전기에 끼워서 충전합니다.

고속충전으로 한시간 정도면 80%정도 충전됩니다.

언제까지 이 5와트짜리 충전기를 끼워줄건지.. 

올해 신형 아이패드 프로부터는 고속충전기가 들어갔다는데, 아이폰에는 영영 넣어주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또한 이어폰 구성품 중에서 라이트닝 커넥터에서 3.5 파이 이어폰으로 가는 젠터를 빼버렸습니다.

만약 내가 기존에 쓰고있던 이어폰을 쓰고싶다? 

12,000원짜리 이어폰 젠터를 사시면 됩니다. 아니면 에어팟을 사시던가요.

솔직히 짜증납니다. 세상에 줬다뺏는거 만큼 짜증나는거는 없잖아요.



디스플레이 또한 기스가 굉장히 잘 납니다.

필름 붙히고 쓰시거나, 저처럼 케어플러스 물리고 쓰세요.

제 휴대폰이 실버라 그런지 옆면에도 기스가 작살나게 납니다.

아이폰 X부터 실버색상 스테인레스 스틸은 기스가 바람만 불어도 난다던데, 진짜 많이 납니다.

나중에 폴리싱하면 사라진다고 하는데, 좀 기스 덜 나게 만들지, 이렇게 비싼 기계에 흠집나는거 보면 마음이 아프긴 합니다..

(Netfilx, 나만이 없는 거리, 2017)


제품으로 들어와서 이야기 하자면, 아이폰 사상 가장 디스플레이가 큰 기기라고 하는데,

확실히 뒹굴거리면서 영상보기에는 끝장나게 좋습니다.

아니 뭘 하든 그냥 좋아요, 크기도 커서 시원시원하고, 컬러도 좋고,HDR 지원에다가 이런식으로 18:9 비율을 지원하는 영상은 탭해서 크게 보면, 시각적 만족감이 엄청납니다. 

다만 그놈의 놋치가 거슬리다 보니, 그냥 확대 안하고 보게 되네요.

다만 16:9같은 기존 영상을 볼때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크기는 기존 플러스 시리즈랑 동일합니다.

하지만, 이건 디스플레이가 아몰레드이기때문에, 빛샘 이런게 없어서 거슬림같은게 덜합니다.

불끄고 방에서 16:9 비율 영상 보더라도 레터박스가 거슬리거나 그런일은 없었고요.

XR도 써보긴 했는데, 영상을 자주보신다면 Xs 시리즈가 답입니다.

이것만큼은 확실하게 아몰레드가 낫습니다. 트루톤 또한 들어가서 보기도 편하고요.

사운드쪽 이야기도 하자면, 아이패드 프로급까지 따라온거 같습니다.

스피커도 스테레오라 몰입감도 장난 아니고, 소리 크기도 큽니다.

이어폰 잭 없는거는 여전히 짜증나긴 하지만요.



카메라또한 잘 나옵니다. 주간 야간 가릴거 없이 말이죠.

센서도 기존 아이폰X에 들어가는거에 비해서 커젔다 하고, OIS도 달려있으니 잘나오네요.

인물사진모드또한 잘나옵니다.

XR은 인물사진모드가 말그대로 인물만 가능하지만, 

Xs 시리즈는 인물뿐만 아니라, 저런 사물, 고양이등에도 가능하니까요.

다만 망원카메라는 야간에서는 잼병입니다.

좀 많이 뭉개집니다. 사진 디테일이요.



이번에 IOS 12부터 들어간 ARkit를 이용한 측정또한 당연히 잘 됩니다.

측정하기 전에 아이폰을 정사각형을 그리면서 보정을 해줘야만 하지만요.

근데 ARkit를 이용하면 좀 휴대폰 뒷면이 뜨끈뜨근해집니다.

뉴럴 엔진이 이걸 처리하면서 따듯해지는거같은데, 그만큼 이걸 구동하고있으면 배터리를 많이 잡아먹고 있습니다.



기가비트 LTE지원이라는데, 아직까지는 제 주변에는 기가비트 LTE 쏴주는 기지국이 없나보네요.

주변에 쏴주는 기지국이 없다면 Xr이랑 별차이 없겠네요.. 아쉽...



성능면으로는 끝판왕 그자체입니다.

A11 바이오닉도 현세대 안드로이드가 따라잡을까 말까하는 수준인데, 그거를 더 제껴버리는 수준이니..

당연히 이 성능답게 뭘 하든 부드럽습니다.

게임을 하든, 웹서핑을 하든, 유튜브 영상보다가 카톡으로 넘어가든 그냥 부드럽습니다.

게다가 램도 4기가니, 멀티태스킹도 문제없죠.

또한 페이스ID도 지문인식인 터치 ID만큼 빨라젔습니다.

그냥 화면 열면 바로 풀립니다. 




배터리는 화면큰 기기치고는 오래가더라고요.

7~8시간정도 사용할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고속충전을 이용하면 한시간만에 80%는 충전되고요.

정말 배터리 타임은 괜찮은데, 여럿 말햇듯이 왜 고속충전기를 번들로 안해줄까요.

이런거가지고 치사하게 장난질이라니 짜증나긴 한데...하...



결론을 내려보자면, 

정말 잘 만든 기기입니다.

디자인,성능,배터리,카메라,소리 이런거 하나 빠지는거 없이 말이죠.


근데, 너무 비쌉니다.

 용량이 같은 512기가 모델끼리 비교해도 63만원이나 차이가 나는데, 이게 또 63만원치 성능차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비쌉니다.

한 갤럭시랑 노트 9랑 20만원정도 차이났으면, 그렇게 신나게 까지는 않을텐데 고속충전기도 뺴고, 이어폰젠더도 뺴고, 뺼거 다 뺴면서, 가격은 갤럭시보다 비싼데..

진짜 팀쿡 한번 거하게 말아먹어서, 제발 다른회사랑 비슷한 가격대에 제품이 출시되였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많이 쓰실 256기가 모델은 2년 할부 하시게 되면 하루에 이자 제외하고 2375원에 폰을 쓰시는겁니다.

팀쿡이 커피한잔 줄이면 된다고 하는데, 제 네스프레소 커피캡슐은 개당 700원대거든요?

3잔 가까이 즐여야겠네요, 팀쿡이 커피드립은 농담으로 하는줄 알았는데, 이런식으로 진담이 되버리다니..

근데 애플은 안망하겠죠, 저같이 이렇게 매년 신제품을 사주는 혹우가 있으니까요...



Posted by Lee.Th
,

항상 쓸모없는것을 싸게 사는것을 좋아하는(?) 저는 다나와를 돌아다니다가 재미있는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7세대 프로세서 판매 당시 HDD를 SSD급 속도로 바꿔준다는 인텔의 옵테인 메모리죠.

하지만 단점은 7세대 이후 코어 i 프로세서만 지원한다는건데

출시당시에는 3세대 인텔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거든요.

또한 원도우 운영체제가 설치되있는 디스크 (즉, C드라이브)만 가속되는 반쪽짜리 물건이였습니다.

데스크톱에서는 SSD에 OS 깔고, 나중에 남는 데이터를 HDD에 때려박으면 되거든요.

보통 그 남는 데이터에 게임 그런게 포함될텐데, 정작 그 중요한 게임이 설치된 하드디스크는 가속이 안되는 거지같은 이유로(..) 욕을 바가지 먹고, 업데이트를 통해 원도우가 설치되지 않은 디스크도 가속할수 있도록 변경되였죠.


그러던 와중, 제가 8세대 랩탑을 쓰게 되였고, 


(가격이 더 떨어젔네요, 저 살때는 18000원정도 준거같은데...)


256기가 모델을 쓰다보니, 스토리지가 부족하기도 하다보니 하드디스크를 달게 되였습니다.

그러던 와중 이 옵테인 메모리가 싸게 풀리는걸 보고, 구매하게 되였습니다.



암튼 그렇게 해서 구매하게 된 옵테인 메모리 16기가입니다.

정말 망해서 그런거인지 모르겠지만 [각주:1] 컴퓨터 부품중에 미국보다 싼 부품중 하나입니다(?)

16기가가 아마존에서 20불 정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6,000원밖에 안합니다.


솔직히 말해서, 패키지 구성품중 저기 인텔 옵테인 메모리 스티커만으로도 가오가 삽니다.

저는 이 스티커만으로도 옵테인 메모리를 살 가치가 있다고 보는데 말이죠..


아무튼 생긴거는 그냥 M.2 SSD랑 똑같이 생겼습니다. 

Key는 B+M 키가 뚫려있는 구조라 Pcie x4의 속도를 지원하고요.



기존에 쓰던 하이닉스제 Nvme SSD입니다.

당연히 2280 규격이라 크기에서는 별 차이 없고 기존에 쓰던 SSD는 pcie x4라 M키만 뚫려있네요.

16기가 모델이라 그런지, 메모리가 하나만 장착되여있네요.

32기가 모델로 가면 메모리가 2개로 될려나요?



설치는 간단하게, 그냥 기존 SSD 있던 자리에 옵테인 메모리를 끼워주면 됩니다.

그리고 노트북 뚜껑을 덮어주면 끝.

제가 사용하는 노트북은 XPS 15 9570 모델입니다. 

분해 메뉴얼은 델에서 제공하니 참조하셔서 분해하시면 됩니다. [각주:2]



처음에 설치할때, 노트북에 기본적으로 깔려있던 인텔 RST를 이용해서 설치하려고 하였으나, 안되더라고요.

하다하다 안되니, 기존에 설치된 인텔 RST를 지우고, 옵테인 메모리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였습니다.



처음에 제가 설치할때 왜 안되지 하면서 삽질을 하였는데, 설치 사용설명서를 읽어보니 디스크 맨 뒷자리에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 최소한 5MB는 있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제품 살때는 어디에도 그런말 없었는데 말이죠.

제가 따로 구글링 안해서 설치 사용서를 읽지 않았더라면 몇일은 삽질할뻔했습니다. [각주:3]




위에서부터 노트북 살때 제공해주던 하이닉스 OEM SSD, 

중간에는 인텔 옵테인 메모리+하드디스크

마지막으로 하드디스크 단일 성능입니다.

노트북용 하드디스크이다보니, 

SSD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일반 데스크탑 하드디스크보다도 더 성능이 떨어집니다.

반면에, 옵테인 메모리는 벤치마크상으로는 정말로 SATA SSD는 제끼는 속도를 보여주네요.



자체 프로그램상에서는 옵테인 메모리 16기가와 램 20기가를 합쳐서 토탈 36기가의 시스템 메모리가 있다고 나오네요.

물론 옵테인자체가 캐시메모리이기 떄문에, 작업 관리자쪽으로 가서 보게 된다면, 인텔 옵테인+설치된 하드디스크 용량이 나옵니다.

저는 2테라짜리 하드디스크가 설치되여서 1.8테라라고 뜨고요.




반면에, 실사용에서는 가끔가다 이런 일들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하드디스크보다 딸리는 IO병목현상이 말이죠.

이 스크린샷은 스팀에서 게임을 업데이트 할때 찍은 사진인데, 옵테인 메모리라는거 자체가 캐시메모리이다 보니, 캐시메모리의 한계를 넘어가는 순간, 병목이 오게 됩니다.

제 생각에는 캐시메모리를 넘어간다고 판단되면, 데이터들이 옵테인을 거치지 않고 바로 하드디스크로 들어가면 될거같은데, 이걸 궃이 옵테인 메모리를 한번 거쳐서 하드디스크로 들어가는지 이해가 되지를 않습니다.

해당 작업들이 끝나고 나면, 다시 캐시들을 하드디스크에서 불러오는 작업도 하고요.



또 이해가 안되는게, 치사하게 왜 용량가지고 프로그램에서 차별하는지 모르겠어요.

어떤걸 옵테인 메모리에 상주시킬지 고르는거는 16기가가 용량이 작아서 안되는거는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더라도, 이 메모리가 어느정도로 효율적으로 사용했는지 보여주는 통계기능조차 안넣어준는건 뭔깡인지 모르겠네요.



근데 막상 써보게 된다면, 의외로 또 잘 작동합니다.

부팅면에서는 하드디스크보다 몇배는 빠른 체감속도를 보여줍니다.

그런데, SSD보다는 느리긴 느려요...

운영체제 부팅 관련된 부분들에 대해서는 다 캐시메모리에 저장해놔서 그런걸까요

솔직히 안정성에 있어서는 의구심이 들긴 하지만, 캐시 메모리라는게 하드디스크에서 일부분을 복사해서 옵테인에다가 저장하기 때문에...

가끔가다가 부팅시에 정말 알 수 없을정도로 제품이 느려지기도 합니다.

하드디스크 그 이하로도요...

한 가만히 10분정도 냅두면 알아서 부팅 끝나고 하드디스크에서 캐시를 긁어와서 그러는지 빨라지긴 하는데, 실사용시에 이런거 걸리면 정말 짜증납니다.


제 생각에는 이 제품은 솔직히 몇년 전에 SSHD가 유행할 때 나왔어야 하는 제품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때 당시에는 시게이트가 캐시 메모리로 8기가라는 용량을 장착했었고, 별도 소프트웨어도 없었습니다.

단지 하드디스크 펌웨어에 따라 제어하는 방식이였던것이죠.

그런데 이제품같은 경우에는 PCIE라는 고속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따로 바이오스상에서 캐시메모리로 뭘 저장할지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구별합니다.

흔히 레이드라 부르는 그런 개념이죠.

알고리즘 자체도 기존에 SSD 만들던 인텔에서 만들어서 시게이트나 WD같은 제조사의 제품보다도 어느정도 쓸만하고요.

근데, 솔직히 요즘 SSD 가격이 너무 싸젔습니다.

500기가에 10만원선, 혹은 해외 직구한다면 1테라에 15만원 그정도에 구입이 가능합니다.

과거처럼 무슨 SSD 1테라가 140만원 그정도 하는 시대가 아닌데, 궂이 하드디스크를 이렇게 장착해서 가속하는 기술은 일부 제한된 사용자들밖에 쓰일 수 밖에 없는 기술입니다..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옵테인 캐시 메모리는 7세대 혹은 8세대 코어 i시리즈 이상 사용자들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컴퓨터 바꾸기는 애매하신 3세대 혹은 4세대 사용자분들은 이 옵테인 메모리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기업에 납품되는 셀러론, 펜티엄이 장착된 사무용 PC에도 장착할 수 없고요.

전 이제품같은 경우에는 그러한 사용자들을 지원했어야 이 제품이 대중적으로 많이 팔릴거 같은데, 그런 제품을 지원하지 않는다는거 자체가 인텔이 이 제품을 팔 마음이 있나?라는 생각을 들게 하더라고요.

보통 코어 i시리즈 사용자들이라면, 그것도 7세대 이상의 최신형 컴퓨터 사용자들이라면 SSD를 기본적으로 장착하지, 하드디스크를 메인으로 쓰려고 할까요?

저라면 용량큰 SSD 하나 구입하겠습니다.







  1. 인텔에서 옵테인 사업부를 정리한다고 합니다. http://www.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123394 [본문으로]
  2. https://topics-cdn.dell.com/pdf/xps-15-9560-laptop_setup-guide_ko-kr.pdf [본문으로]
  3. https://www.intel.com/content/dam/support/kr/ko/documents/memory-and-storage/optane-memory/intel-optane-memory-user-installation.pdf [본문으로]
Posted by Lee.Th
,